top of page
검색


주택 임대차 계약에 있어서 임대인이 소유자일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적법한 임대 권한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판례 해설 임대차는 타인에게 목적물을 사용 또는 수익하게 하는 조건으로 일정한 대가를 받는 법률행위이다. 따라서 소유권을 가진 소유자는 물론, 목적물을 타인에게 사용 및 수익하게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도 임대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권형필 변호사
2023년 6월 30일


영업 목적으로 임차한 건물 중 일부에서 숙식을 해결했다면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 대상인 주거용 건물로 볼 수 있을까?
판례 해설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서민의 주거 생활 안정을 위해 제정된 법이기 때문에 주거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주택임대차보호법으로 보호받을 수 없다. 물론 이제는 상가임대차보호법도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건물의 용도를 구분하는 것이 크게...
권형필 변호사
2023년 6월 9일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을 받는 건물에는 임차 외에 그 대지도 포함될까?
판례 해설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임차인이 그 권리를 보호받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임차한 건물이 주택이어야 한다. 만약에 임차인이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 요구하는 건물의 점유(인도)와 주민등록, 나아가 확정일자까지 갖추었다고 하더라도 해당 건물이...
권형필 변호사
2023년 5월 19일


근린생활시설을 주거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될 수 있을까?
판례 해설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을 받기 위해서는 대항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이보다 더 기본적인 요건은 해당 건물이 주거용 건물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주거용 건물이 아니라면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아니라 민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임차인은...
권형필 변호사
2023년 4월 21일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소액임차인의 요건을 갖추었더라도 우선변제권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판례 해설 이 사건도 주택임대차보호법상 혜택을 받기 위해 형식상 소액임차인을 갖춘 사람에 대한 판례이다. 그러나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진정한 임차인의 주거생활 안정을 위해 마련된 것이므로, 채권자가 채무자와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전입신고를 마친...
권형필 변호사
2023년 3월 31일


형식적으로 대항요건을 모두 갖추었지만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사례
판례 해설 서민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일반적인 임대차 관계보다 두텁게 임차인을 보호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임대차 관계에서의 임차인은 철저한 을의 입장이었던 반면,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을 받는 임차인은 계약 기간...
권형필 변호사
2023년 3월 10일


유치권자가 임차인을 통해 점유를 인정받으려면, 임차인은 유치권자와 임대차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판례 해설 유치권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점유가 인정되어야 하는데, 우리 민법은 유치권자가 직접 점유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을 통한 간접점유도 인정한다. 다만 이 경우 유치권자의 간접점유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유치물을 직접 점유하고 있는 사람과...
권형필 변호사
2023년 1월 27일


임차인이 비용을 들여 건물의 가치가 상승되었다면 유치권을 주장할 수 있을까?
판례 해설 유치권이 성립하려면 유치권자에게 피담보채권이 존재해야 하며 그 채권과 유치권 목적물 사이에 견련관계가 인정되어야 한다. 그런데 유치권은 그 존재 자체가 담보질서를 해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법원은 유치권의 성립 여부를 엄격하게 판단하기...
권형필 변호사
2023년 1월 6일


유치권자와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오피스텔을 임차한 임차인의 위험성
판례 해설 유치권자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로 유치권 행사의 목적물을 점유해야 한다. 나아가 아무리 목적물을 점유하고 있는 유치권자라고 하더라도 유치물을 사용하거나 이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는 없고, 만약 그렇게 한다면 이는 유치권 소멸 청구의...
권형필 변호사
2022년 3월 11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