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어느 한 채권자가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제기하여 승소, 확정 및 원상회복까지 이루어진 경우, 다른 채권자의 채권자 취소권이 유효하다 인정받을 수 있을까?
판례 해설 수명의 사해행위 취소채권자 각자가 각각 취소소송을 제기하였을 경우 채권자 대위소송과 다르게 채권자 취소소송은 후소라고 하여도 권리보호이익이 없다고 판단되지 않는다. 더불어 전소가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후소 역시 권리보호이익이 없어지지...
권형필 변호사
2023년 8월 18일


동일한 사해행위에 관하여 한 채권자가 사해행위 취소소송에서 승소확정을 받은 경우, 그 후에 다른 채권자는 더이상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없을까?
판례 해설 채권자 대위소송을 제기하기 위해서는 채무자가 권리행사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전의 필요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채무자의 또 다른 채권자가 채권자 대위 소송을 하는 경우, 다른 채권자가 채무자의 권리를 대신 행사하게 되어 그 자체로 채무자의...
권형필 변호사
2023년 7월 28일


사해행위 취소소송의 상대방이 전득자인 경우, 전득자의 악의가 정확하게 무슨 의미일까?
판례 해설 채무자의 법률행위가 사해행위로 평가되면 그 법률행위는 취소된다. 나아가 채무자가 수익자와 한 법률행위가 이후 전득자에게로 이어진 경우, 여기에서 취소되는 법률행위는 수익자와 전득자 사이의 법률행위가 아니라 채무자와 수익자 사이의...
권형필 변호사
2023년 7월 7일


주채무자가 변제 능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연대보증인이 재산을 처분하면 사해행위가 될 수 있는 이유!
판례 해설 속된 말로 형제 지간에도 보증은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고 말하기도 한다. 여기서 말하는 보증이란 연대 보증을 말하는 것으로, 단순 보증의 경우에는 주채무자가 일단 변제를 하고, 그가 변제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 보증인이 책임을 부담하는...
권형필 변호사
2023년 6월 16일


채무자가 여러 번에 걸쳐서 재산을 처분한 경우, 사해행위와 무자력 판단은 어떻게 해야 할까?
판례 해설 채무자가 재산을 처분한 것을 사해행위라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 재산 처분 행위로 인하여 채무자가 무자력이 되거나, 이미 무자력이었던 상태가 더욱 심각해져야 한다. 다시 말해 자산보다 부채가 많아졌다는 것이다. 그런데 만약 채무자가...
권형필 변호사
2023년 5월 26일


채권자 취소권을 행사하려는 채권자의 채권은 반드시 사해행위 이전에 성립해야만 할까?
판례 해설 채무자의 법률행위가 사해행위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채무자의 소극재산은 반대로 말하면 채권자의 채권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채권자 취소권을 행사하려는 채권자의 채권은 채무자의 사해행위가 이뤄지기 전에 성립해야 한다. 다만 예외적인...
권형필 변호사
2023년 4월 28일


채무자의 대물변제 행위가 무조건 사해행위는 아닌 이유!
판례 해설 일반적으로 채무자가 특정 채권자에게 그가 소유한 유일한 부동산으로 대물변제를 한 경우에는 사해행위로 평가된다. 그러나 모든 대물변제가 사해행위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채무자의 부동산 처분행위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를...
권형필 변호사
2023년 4월 7일


채무자가 재산처분행위를 함으로써 비로소 채무 초과 상태에 빠진 경우에도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례 해설 사해행위는 채권자의 채권을 해하는 채무자의 법률행위로, 채무자가 재산을 처분한 결과 그의 재산이 감소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채권의 공동담보가 부족해지거나, 이미 부족한 상태가 더욱 부족해져서 결과적으로 채권자의 채권을 변제하지 못하게...
권형필 변호사
2023년 3월 17일


여러 개의 채권을 가진 채권자는 사해행위 취소소송도 여러 번 제기할 수 있을까?
판례 해설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하는 목적은 채무자의 사해행위를 취소하고 이를 원상회복 시키는 데에 있다. 즉,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제기하는 채권자가 가지는 채권은 소송을 하기 위한 공격 방법일 뿐, 채권의 종류에 따라서 취소하는 채무자의 법률행위가...
권형필 변호사
2023년 2월 24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