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건설업법 위반으로 건축공사업면허가 말소되고 새롭게 토목건축공사업면허를 취득한 경우, 기존의 건설업법 위반을 사유로 새로운 면허의 취소처분이 가능할까?
판례 해설 대상 판결은 기존에 건설업 면허를 가지고 있는 건설업자가 건설업법을 위반하여 해당 면허가 말소되었고, 이후 새로운 토목건축공사업면허를 취득하였다. 이에 당시 건설부(현행 국토교통부)에서는 기존 건설업법 위반을 사유로 하여 새롭게 취득한...
권형필 변호사
2023년 9월 27일


건설업자가 아닌 하수급인이 사용한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못할 경우, 건설근로자는 어떻게 해야 임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
판례 해설 근로기준법 제44조의2는 건설업에서 2차례 이상 도급이 이루어진 경우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 제7호에 따른 건설업자가 아닌 하수급인이 그가 사용한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못할 경우 하수급인의 직상 수급인은 하수급인과 연대하여...
권형필 변호사
2023년 9월 6일


건설업을 등록하지 않은 업체에게 도급받은 건설공사를 불법 하도급 준 경우, 건설산업기본법으로는 처벌이 불가능하다?!
판례 해설 구 건설산업기본법 제29조 제1항에 따르면 건설업자는 그가 도급받은 건설공사의 전부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주요 부분의 대부분을 다른 건설업자에게 하도급할 수 없다. 만일 이를 위반할 경우, 제96조 제5호(현행법에서는 제4호)에...
권형필 변호사
2023년 8월 16일


자본금기준 미달로 영업정지처분을 받고 3년 안에 동일한 자본금기준에 미달한 건설업자에 건설업 등록 말소를 규정한 건설산업기본법 제83조 단서조항, 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 위헌일까?
판례 해설 건설산업기본법의 제83조의 단서 조항에 건설업 등록기준 중 자본기준에 미달하여 영업정지처분을 받았던 건설업자가 3년 안에 다시 동일한 자본금 기준에 미달했을 때, 건설업 등록을 필요적으로 말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부 건설업자들이...
권형필 변호사
2023년 7월 26일


도급계약에 의한 수급인의 하자보수 채무와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른 하수급인의 채무 관계
판례 해설 도급 계약 관계에서 공사를 진행한 공사업자는 도급인에게 완성된 건물을 인도해야 하고, 발견된 하자에 대해서는 하자보수 또는 손해배상 책임을 부담한다. 이는 도급계약에 의한 책임이다. 한편, 수급인으로부터 공사를 하도급 받은 하수급인...
권형필 변호사
2023년 7월 5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