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건설산업기본법에서 규정하는 입찰행위 방해한 사람에 대한 처벌 규정, 형법상 입찰방해죄와는 뭐가 다를까?
건설산업기본법 제95조의 벌칙 규정은 건설공사의 공정한 입찰을 보호하기 위해 이를 방해한 자를 처벌하기 위함인바, 이는 형법상 입찰방해죄의 요건과 동일하지만 가중처벌을 위한 특별규정이다.
권형필 변호사
2024년 11월 27일


위반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5년이 지나서 내려진 제재처분, 신의칙 위반으로 다툴 수 있을까?
비록 문화재수리법에는 제재처분의 제척기간을 명시하여 규정하고 있지 않더라도, 위반행위 이후 5년이 지나 내려진 제재처분은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침해하므로 신의칙 위반에 해당한다.
권형필 변호사
2024년 11월 6일


건설업자가 명의대여를 통해 건설공사를 수급하였고 이를 일괄하도급 하였을 때, 적법한 공소제기 절차는?
판례 해설 건설산업기본법에서는 건설업자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명의를 대여하여 건설공사를 수급하거나 시공하게 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도급받은 건설공사의 전부 또는 주요 부분의 대부분을 다른 건설업자에게 하도급 주는 것을 금하고 있다....
권형필 변호사
2024년 8월 14일


건설업체에서 소속 직원이 회사의 명의를 사용하여 공사를 시공한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면, 건설업 명의 대여로 인한 건설업 등록말소 처분을 피할 수 있을까?
판례 해설 건설산업기본법 제21조에서는 건설업 명의대여를 금지하도록 하고 있고, 이를 위반할 경우 건설업 등록이 말소될 수 있다. 그렇다면 건설업체의 직원이 회사의 명의를 사용하여 공사를 시공하였고, 회사는 이를 모르고 있다가 뒤늦게 알게...
권형필 변호사
2024년 7월 24일


자격을 갖춘 건설업자라고 하더라도 이 행위를 하게되면 처벌을 받게 됩니다!
판례 해설 건설업 명의대여라고 하면 건설업자가 아닌 사람이 건설업자의 명의를 빌려서 공사를 진행하는 것을 생각하게 되는데, 건설업자라 하더라도 수급 자격에 대하여 법령상의 제한을 피하고자 명의를 대여하는 행위도 건설산업법에서 금지하는 명의대여에...
권형필 변호사
2024년 7월 3일


건설업자가 자신의 명의로 하도급한 건설공사가 다른 시공자에 의하여 시공되었다면, 건설업자의 관여가 있었다 하더라도 명의대여에 해당할까?
판례 해설 건설산업기본법에서는 건설업 면허에 대하여 명의대여를 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만약 건설업자가 자신의 명의를 대여한 경우라면, 법원에서는 이에 대하여 타인이 자신의 상호나 이름을 사용하여 자격을 갖춘 건설업자로 행세하면서 건설공사를...
권형필 변호사
2024년 6월 12일


건설업 등록을 위해 실제 고용하지 않은 사람의 면허를 빌려서 고용한 것처럼 등록하였다면?!
판례 요약 이 사건 원고는 토목건축공사업 등을 목적으로 하여 설립된 회사로 토목공사업을 업종으로 건설업 등록을 하였다. 건설산업기본법상 토목공사업 등록을 위해서는 토목분야의 건설기술자를 6인 이상 고용해야 한다. 그러나 원고는 5인이 고용된...
권형필 변호사
2024년 5월 22일


여러 개의 전문 공사로 구성된 복합공사, 일반건설업자가 아닌 2개 업종의 전문건설업 등록을 마친 건설업자가 하도급 받을 수 있을까?
판례 요약 건설산업법은 전문건설업자는 일반건설업자만이 도급을 받아 시공할 수 있는 건설공사를 도급받을 수 없도록 규정(제16조 제3항)하고 있다. 다만 예외적으로 2개 업종 이상의 전문건설업의 등록을 한 전문건설업자의 경우, 당해 업종에 해당하는...
권형필 변호사
2024년 4월 24일


건설업자가 공동수급체를 이루어 참여한 입찰에서 도급한도액을 초과하는 건설업자가 있는 경우, 해당 입찰은 무효가 되는 것일까?
판례 해설 대상 판결의 내용은 구 건설업법의 도급한도액과 관련된 것으로, 현재는 건설산업기본법으로 개정에 따라 폐지가 되었으나, 공동수급체의 입찰과 관련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 사례이기 때문에 소개하고자 한다. 구 건설산업법은 건설업자의 무리한...
권형필 변호사
2024년 4월 3일
bottom of page